네트워크
IP 관련 기술
민초부
2020. 10. 19. 22:03
- 스터디 한 것 중에 까먹기 전에 이건 먼저 정리해서 올려야할 것 같아 지금 바로 정리함
1. DNS ( Domain Name System)
-
사람이 모든 IP를 기억 할수 없음 → 사람이 할수 있는 언어를 IP로 변환해주는 방법이 필요해짐
도메인을 가지고 있는 서버는 기본적으로 도메인 서버를 가지고 있다. (도메인과 IP를 Mapping하는) -
네임서버는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음
-
상위에 있는 서버가 하위에 있는 서버의 도메인 정보를 가지고 있음
-
-
도메인 recursive하게 찾아냄
- www.naver.com 주소를 찾으러 갈때 로직 순서가
1. com을 먼저 root DNS 서버에 가서 com을 가지고 있는 DNS서버 주소를 받아냄
-> 받은 DNS서버 주소로 가서 mydomain 도메인 IP 주소를 받아옴
-> 받은 IP주소로 패킷 전송
-
DNS 레코드 타입
-
A : 직접 IP를 등록
-
CNAME : 도메인을 등록 (우리 서비스 같은 경우 AWS 서버를 사용하고 있는데 여기에 CNAME으로 AWS 라우팅 서버 이름을 넣는다)
-
MX : 메일서버
-
TXT : 텍스트 (이건 보통 인증키를 넣어놓음. 실제 도메인으로 사용되는건 아니고 명령어를 통해 도메인을 입력하면 return값으로 text가 떨어짐)
-
기타 나머지 항목들은 잘 사용하지 않음
-
2. DHCP (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)
-
플러그 앤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
-
신규 장비가 네트워크에 들어왔을때 IP를 할당해주는 프로토콜 임
-
공유기가 DHCP 서버 역할을 함.
3. NAT ( Network Address Translation )
-
프라이빗 IP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연결할 때 글로벌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기술